로그인

검색

삼펀드
(98) 고환율전략에서 갈아탈때, 세금 영향 계산했습니다.

고환율전략에서 갈아탈때, 세금 영향 계산했습니다.

고환율전략 (1110원 이상 /  1150원 이상)
KODEX 미국S&P500선물(H)
TIGER 미국S&P500레버리지(합성 H)

고환율전략 갈아탈때,
- 환율회복 기간이 짧을수록 유리
- 년수익률이 작을경우 유리

계속 국내 ETF 보유가 유리한 경우
- 환율회복기간이 길어질때
- 년 수익률이 너무 클때
 

 

 

 

https://youtu.be/scG2Rns3zdk

이 게시물을

댓글'5'
고양이손
  • 2022.01.26

미래의 환율을 예측하여 움직이는 것은 마켓타이밍을 보는 행동으로 보글헤드 투자법에 맞지 않습니다. 환율이 예상과 반대로 가면 세금도 내고 환차손도 보는 구조입니다. 헷지든 언헷지든 하나를 고르거나 비율을 정하여 필요시 리밸런싱 정도만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이 댓글을

이.게.투 (작성자)
  • 2022.01.27
  • 수정: 2022.01.27 02:27:07

네, 맞습니다.

환차익을 보려고 하다보니, 환율에 대한 마켓타이밍을 보게 되는데, 이는 보글헤드 정신에 위배되는 일입니다.
또한, 처음 생각했던 것 보다는 구체화 하는데, 매도시 세금문제도 걸려 있습니다.

다만, 미국외 3국에서는 시도해 볼 만한 하다고 생각되는데, 각자가 직접, 사전에 득실을 따져봐야 합니다.

(제가 직접 해보고, 후기 남기겠습니다.)

이 댓글을

고양이손님은
고환율 일때,
- 미국직투
- 국내 헷지 상품
- 국내 언헷지 상품
중 에서
어디에 투자 하시는 지요?

이 댓글을

고양이손
  • 2022.01.27
저는 언헷지 상품 사용했습니다. 한 번 정하면 2-30년은 끌고 가야 하는 것이니, 고환율 저환율 생각하지 않고, 환노출이 좋은지 헷지가 좋은지 생각했습니다. 노후에 꼭 한국에 살아야 한다는 법도 없고, 원화보다는 달러의 가치가 장기적으로 안정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정한 부분입니다.
다만 저는 현재 슨피는 정리하고 더 많은 국제분산을 위해 코덱스 msci world만 사용중이라서 환헷지여부는 선택지가 없는 상태입니다.

이 댓글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슨피보다 VT 에 근접한 msci world 를 선택하셨군요.
덕분에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살펴본적이 있는 ETF 였는데, 혼자공부할때, 장점을 간과 했었네요.

이 댓글을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수
98
2022.01.09
조회 수: 19
97
2022.01.09
조회 수: 44
96
2022.01.09
조회 수: 32
95
2022.01.09
조회 수: 12
94
2022.01.09
조회 수: 19
89
2022.01.09
조회 수: 16
86
2022.01.09
조회 수: 52
80
2021.10.27
조회 수: 66
2022.01.09
조회 수: 19
2022.01.09
조회 수: 12
2022.01.09
조회 수: 19
2022.01.09
조회 수: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