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기타
고환율에서 저환율로 변화되는 시점에서,

고환율에서 저환율로 변화되는 시점에서,

 

고환율에서는 국내 S&P ETF 헷지를 매수 입니다.

KODEX 미국S&P500선물(H)
TIGER 미국S&P500레버리지(합성 H)

 

 

 

막상, 저환율이 되면, 헷지 ETF를 언헷지 ETF로 바꿉니다.

(언헷지) KODEX 미국S&P500TR      0.05%
(언헷지) 신한 레버리지 S&P500 선물 ETN    0.8%

 

연금계좌, ISA, IRP 계좌는 세금 이연이 되므로, 부담없이 언헷지 상품으로 갈아 타면 됩니다.

 

만일,

일반계좌에 헷지 상품을 언헷지로 바꾸려면,

- 수익금의 15.4% 를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언헷지로 바꿔도 되고,

환전 후, 미국직투를 해도 됩니다.

다만, 세금 15.4% 를 최소화 시키는 방법이 있으면 좋을 듯 합니다.

 

 


 

 

Untitled-6 copy.JPG

 

 

위 그래프는 환율, 삼성전자, KODEX은행ETF 입니다. 

 

제가 관심가지고 있는 부분은 2016년 ~ 2018년 입니다. (노란색 네모)

 

환율은 떨어지는데, 삼성전자, KODEX은행ETF는 오르고 있습니다.

- 삼성전자는 저환율에서 수출경쟁력이 좋아져서 이며,

- KODEX은행ETF는 금리인상으로 인한 수익률 개선이라고 합니다. (금리인상이 환율 하락 분위기를 만들어 줬네요.)

 

 

 

 

 

 

 

 

 

 

 

 

 

 

 

 

 

 

 

결론입니다.

- 지금환율이 1128원 입니다.

- 그래프에서 보듯이 같은 기간 상승률은 대략 100% 입니다. (kodex은행, kodex반도체, kodex S&P)

- kodex은행와 kodex반도체는 세금이 없습니다.

 

 

 

 

이 게시물을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수
16
2024.06.24
조회 수: 73
15
2024.06.24
조회 수: 43
14
2023.09.03
조회 수: 33
13
2023.07.27
조회 수: 36
9
2022.08.17
조회 수: 80
7
2022.08.13
조회 수: 53
3
2022.08.08
조회 수: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