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BND 채권의 장점은 뭘까요?

이게투님 안녕하십니까?

미국전체에 투자하는거에 매력을 느껴서 VTI를 알게됬고 한 종목만 적립식 투자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뱅가드에서 운용중인 BND(종합 채권)을 알게됬고 VTI와 마찬가지로 미국 전체 채권 시장에 투자를 한다는거에 또 한번 매력을 느껴 조금씩 분할 매수중인데

BND의 대한 정보를 구글링 하거나 유튜브를 찾아봐도 자세한 정보는 없더라고요.

대부분 블랙록에서 운용중인 SHY, IEF, TLT등 단기, 중기, 장기 채권에 대한 정보밖에 없고.....

제가 알기론 BND는 종합 채권이지만 따지고 보면 중기 채권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걸로 압니다.

그래서 중기 채권에 속하는 IEF와 비교를 해보니 20년 3월 코로나사태때 오히려 주가가 오른반면 BND는 오히려 떨어졌더라고요.

단기 채권인 SHY도 올랐고요.. BND는 종합 채권이라 국채의 비중이 44% 밖에 안되던데 혹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정반대의 결과가 나오는건가요?

채권이란게 수익률보단 안전 자산의 개념으로 투자하는건데 BND는 변동폭도 적고 그만큼 장기수익률도 낮지만...

원래 BND의 성격이 다른 채권ETF보다 더 안전한쪽에 속하는건가요?

제가 생각하는 BND의 장단점은 다른 채권ETF와 비교 했을때 변동폭이 적다, 그만큼 장기적으로 가져갔을때 수익률은 더 낮다.. 하지만 더 안전하다.. 이게 맞는건가요??

코로나때 주가가 떨어졌을때 채권을 팔아서 떨어진 주식에 투자를 해야되는데 이건 주식이랑 똑같이 떨어지니... 그런 의도로 비중을 늘리려면 다른 앞서 말했던 종목으로 비중을 늘려야겠죠????? 

그리고 지금 금리이슈로 주가가 많이 떨어졌는데 지금부터 매수하면서 모아가는게 맞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대부분 왜 지금 채권을 굳이 모으냐고 하는데 

당연히 금리가 오르면 가격은 떨어지고 금리가 내리면 가격이 올라가는데 지금부터 모아가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BND의 장단점 그리고 해당 채권의 성격은 어떤건지, 지금 모아가는 시기가 아닌건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게시물을

댓글'3'

 저도 BND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이 댓글을

이.게.투
  • 2022.05.18

영상으로 만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youtu.be/CsoQI2SeXxU

이 댓글을

배당이
  • 2025.04.17
보유하는 채권 종류와 만기 기간에 차이로 bnd가 보다 포괄적이에여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bnd 미국종합채권 투자
블랙록 etf 3종은 미국국채 기간별 투자 에요
개인적으로 bnd가 기대 수익률이 낮은 맞큼 방어력이 높다 생각하고 있어요

이 댓글을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게시물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수
40
2025.01.19
조회 수: 74
37
2022.07.27
조회 수: 215
30
2022.03.27
조회 수: 242
29
2022.02.26
조회 수: 95
28
2021.12.07
조회 수: 43
2025.01.19
조회 수: 74
2022.07.27
조회 수: 215
2022.03.27
조회 수: 242